본문 바로가기

Product/Fire Fighting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3/7 (하이브리드차량화재진압, 전기자동차화재진압, 배터리화재진압, 화재진압메뉴얼, 리튬이온화재진압, 뮬러랜스, 화재진압가이드, 독일소방, DGUV)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3/7)

 

1. 전기차량 화재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2.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상?

 

3.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 차량의 확인 방법.

통제센터를 통해서 사고 차량의 등록번호를 조회하여 해당 차량의 종류와 적절한 구조 및 화재진압 조치 방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긴급 신고시에 차량의 등록번호를 요청해야 합니다. 신고자에게 차량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물어봐야 합니다.

차량의 종류와 형태를 외부적으로 알수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전자에게 추가적으로 외형에서 유추할 수 있는 차량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예를 들어, 차량에 표기된 인쇄물이나 표식, 주황색 케이블의 연결 여부,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표시, 충전포트 또는 배기 시스템의 여부와 같은 내용들이 포함됩니다.

차량에 전기차용 번호판이 있습니까?

아마도 리튬이온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을 겁니다.

 

주의) 전기차용 번호판이 없는 경우라도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차량일 수 있으며, 하나나 그 이상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일 수 있습니다.

 

 

4. 차량화재진압.

5. 화재현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연계된 증거.

6.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량 화재진압 방법.

7. 화재진압 이후의 처리.

 

Unfallhilfe_Bergen_FAQ_dt_082020.pdf
0.41MB

 

 

 

#독일소방 #DGUV #전기차화재진압장비 #직접타격식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 #전기자동차화재진압장비 #배터리화재진압장비 #전기버스화재진압장비 #전기트럭화재진압장비 #EV전기차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 #배터리화재 #뮬러랜스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배터리화재진압장비 #열폭주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대응 #상부타격식관통형관창 #리튬이온배터리화재 #하이브리드차량화재 #전기차화재진압가이드 #배터리화재진압메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