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Fire Fighting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4/7 (하이브리드차량화재진압, 전기자동차화재진압, 배터리화재진압, 화재진압메뉴얼, 리튬이온화재진압, 뮬러랜스, 화재진압가이드, 독일소방, DGUV)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4/7)

 

1. 전기차량 화재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2.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상?

3.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 차량의 확인 방법.

 

4. 차량화재진압.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반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면, 현장 소방대원들에게 몇가지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있습니다.

특히, 차량의 화재가 내부가지 확산된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전소되는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에, 가능한 저위험 전법을 사용하여 화재진압에 나서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전술 안전 지침을 적용하시길 권합니다.

 

-. 불꽃, 열과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경우:

SCBA 공기호흡기를 포함한 완벽한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 굴러가거나 차가 움직이는 경우:

화재 차량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가능한 신속하게 굴러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야 합니다.

-. 복사열의 경우:

'full-jet'(풀제트)방식으로 소화수를 분사해야 합니다. 화재가 성공적을 진압이 된 경우에는 코너 부분을 통해서 대각선으로 차량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날아다니는 화재 잔류물의 경우:

화재로 인하여 날아다니는 잔류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로, 에어백, 가스압력댐퍼, 타이어, 불탄 경금속, 가스배출에 의한 플래쉬 불꽃등).

 

차량 코너를 통한 대각선 접근 방식은 즉각적인 위험구역으로부터 최대한의 거리를 보장해 줄 수 있습니다.

 

만약, 하이브리드차량이거나 전기차의 경우에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음과 같은 사항도 적용하시길 권합니다.

 

설계상, 하이브리드차량 또는 전기차의 고전압 시스템으로 인한 전기적인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차량의 고전압 시스템은 DIN VDE 0132 (국내의 경우에도 유사함)에 따른 전기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화재진압시 지정된 안전 거리를 준수해야 합니다. (저전압: 스프레이제트 1m, 풀제트 5m) *국내 전술과 다를 수 있음.

화재가 발생한 하이브리드차량 또는 전기차량이 여전히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AC 충전 시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된 부분을 분리해야 합니다.

차량이 잠겨 있을 때는 충전 플러그도 기계적으로 잠기기 때문에, 필요의 경우에는 강제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 경우, 제조업체에서는 차량의 충전 플러그를 해제하기 위한 비상 해제 장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차량별 구조 정보 자료에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5. 화재현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연계된 증거.

6.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량 화재진압 방법.

7. 화재진압 이후의 처리.

 

Standards_Quarantäneflächen_final.pdf
0.64MB

 

 

 

#독일소방 #DGUV #전기차화재진압장비 #직접타격식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 #전기자동차화재진압장비 #배터리화재진압장비 #전기버스화재진압장비 #전기트럭화재진압장비 #EV전기차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 #배터리화재 #뮬러랜스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배터리화재진압장비 #열폭주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대응 #상부타격식관통형관창 #리튬이온배터리화재 #하이브리드차량화재 #전기차화재진압가이드 #배터리화재진압메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