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Fire Fighting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2/7 (하이브리드차량화재진압, 전기자동차화재진압, 배터리화재진압, 화재진압메뉴얼, 리튬이온화재진압, 뮬러랜스, 화재진압가이드, 독일소방, DGUV)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2/7)

 

1. 전기차량 화재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2.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상?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내부 또는 외부 요인과 기계적 손상등에 의해서 다른 물질들과 함께 발화가 될 수 있습니다.

발화 이후에는 배터리팩 내부의 셀들이 연쇄적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연속적인 발화 현상에는 연기가 동반되는데, 어두운 검정색과 옅은 회색간의 연기 구름처럼 형성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가연성 전해질(보통 흰연기/증기)와 흑연(보통 회색연기)을 불어내는 작업이 연계되어 있습니다.

가연성 전해질 증기를 불어내면 리튬이온 배터리 외부에 발화성 가스/공기 혼합물이 형성되고, 그로 인해서 (외부에서도) 불꽃이 발생하거나 심지어 점화가 될수도 있습니다.

만약, 배출가스 (배기가스)가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곳이나 밀폐된 곳에 모이면 위험한 폭발성 대기가 형설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의 내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시뻘건 금속부분과 불타는 부분들이 튀어 나올수도 있습니다.

화재가 발전되는 상황에서는 고온때문에 소방대가 직접 접근할 수 없는 배터리팩의 구멍들이 불에 탈수가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멍들과 압력 균등화 개구부들을 통해서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로 소화수를 들여 보낼수 있습니다.

화재의 진행 과정은 무엇보다도 차량내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 셀의 배열과 설계, 셀의 화학적 특성과 특히 충전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상을 확실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3.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 차량의 확인 방법.

4. 차량화재진압.

5. 화재현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연계된 증거.

6.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량 화재진압 방법.

7. 화재진압 이후의 처리.

 

2021-01_Elektrofahrzeuge_V2.pdf
0.93MB

 

 

 

 

#독일소방 #DGUV #전기차화재진압장비 #직접타격식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 #전기자동차화재진압장비 #배터리화재진압장비 #전기버스화재진압장비 #전기트럭화재진압장비 #EV전기차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 #배터리화재 #뮬러랜스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배터리화재진압장비 #열폭주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대응 #상부타격식관통형관창 #리튬이온배터리화재 #하이브리드차량화재 #전기차화재진압가이드 #배터리화재진압메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