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Fire Fighting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1/7 (하이브리드차량화재진압, 전기자동차화재진압, 배터리화재진압, 화재진압메뉴얼, 리튬이온화재진압, 뮬러랜스, 화재진압가이드, 독일소방, DGUV)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메뉴얼 (1/7)

 

독일 DGUV에서 소방서와 관련기관에 리튬이온 배터리 차량화재 진압에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발간하여 공표하였습니다.

 

하이브리드차량과 전기차량의 화재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에 관련된 위험성과 안전하게 화재진압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마련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한 차량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은 일반 차량 화재 (휘발유, 디젤류등)를 진압하는 방식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1. 전기차량 화재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전력 배터리 운영을 위한 저장 공간으로, 일반적으로는 차량 구조에 연계되어 보호받는 구조 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물은 방수처리가 되어 있어 외부에서 소화수를 뿌려도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로는 소화수가 닿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외부에서 소화수를 뿌려서 냉각하고자 한다면, 이 또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리튬이온 배터리 차량화재에는 소화수를 활용하여 진압을 하는 것이 맞으나, 배터리팩 외부에 소화수를 뿌려서 화재진압을 목표하거나 냉각을 목표로한다면, 결국에는 다량의 시간과 다량의 소화수만 낭비하게 되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전기차에 주로 적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나 하이브리드 차량에 주로 적용되는 니켈/망간등을 적용한 배터리의 화재에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며, 이러한 전기차량 화재에 적합한 화재진압 방식은 물(소화수)이 가장 적합하고 추천되고 있으며, 별도의 추가 약재 성분은 크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는 다량의 독성 가스와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및 불순물들이 발생합니다.

 

* 결국, 전문기관에서 분석 평가한 전기차량 화재진압 방법으로는 차량(배터리팩) 외부에서 소화수를 뿌리는 것이 아닌,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수를 진입시켜 냉각하여 진압하는 방법을 추천하고 있으며, 화재진압 현장에는 철저한 개인보호장비 착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뮬러랜스, 전기차량이나 하이브리드차량 화재에 적합함을 결론적으로 알수 있습니다.

 

 

2.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상?

3.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 차량의 확인 방법.

4. 차량화재진압.

5. 화재현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연계된 증거.

6.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량 화재진압 방법.

7. 화재진압 이후의 처리.

 

 

#독일소방 #DGUV #전기차화재진압장비 #직접타격식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 #전기자동차화재진압장비 #배터리화재진압장비 #전기버스화재진압장비 #전기트럭화재진압장비 #EV전기차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 #배터리화재 #뮬러랜스전기차화재진압장비 #뮬러랜스배터리화재진압장비 #열폭주화재진압장비 #전기차화재대응 #상부타격식관통형관창 #리튬이온배터리화재 #하이브리드차량화재 #화재진압가이드 #배터리화재진압메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