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지난해 韓 '해외 플랜트' 수주액 341억 달러…9년 만에 최대 (플랜트공사, 특수사업, 소방기자재, 안전장비, 탈출장비, 개인보호장비, 방호복, 방화복, 구조복, 소방장비, 육상플랜트공사, 자체소방대, 산업단지소방대)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외 플랜트 수주액이 총 340억 달러를 넘어서며 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수주한 플랜트 사업이 금액 기준 총 340억7000만 달러(약 50조 원)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15년(364억7000만 달러) 이후 9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2023년(302억3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12.7% 증가했다.

플랜트는 기계·장비 등 하드웨어와 그 설치에 필요한 설계·시공·유지·보수가 포함된 융합 산업이다. 사업 수주에 따른 전후방 효과가 큰 분야다.

산업부는 “이번 성과는 우리 기업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중동 지역에서의 초대형 프로젝트 수주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지난해 수주액 340억7000만 달러 중 46%인 155억2000만 달러는 중동에서 수주한 금액이었다.

산업부는 “2022년 11월 이후 중동 국가와의 고위급 경제외교 성과가 대형 프로젝트의 실제 계약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지난해 4월 삼성E&A와 GS건설이 수주한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플랜트 증설 프로그램(73억 달러)은 우리 기업이 수주한 역대 해외 프로젝트 중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191억 달러) ▷2012년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77억 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또 지난해 11월 삼성물산이 수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 복합 발전소’(28억4000만 달러)는 국내 컨소시엄이 사업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 국내 기업의 EPC(설계·조달·시공) 수주로까지 이어진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해 우리 기업은 동유럽과 동남아 지역에서도 여러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중동 중심 수주에서 벗어나 플랜트 진출 시장을 한층 다변화했다.

특히 현대엔지니어링의 세르비아 태양광 발전소(16억8000만 달러·2024년 10월) 수주 등 동유럽 지역에서만 총 47억1000만 달러를 수주했다. 이로 인해 유럽에서의 수주액은 2023년 대비 250.6% 급증한 65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삼성E&A의 말레이시아 피닉스 바이오(SAF·지속가능항공유) 정유 시설(9억5000만 달러·2024년 12월) 수주 등에 힘입어 동남아 지역에서도 2023년 대비 79.1% 증가한 33억9000만 달러를 수주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앞으로도 수주 상승 기조를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와 별도로 정 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우리 내부에서는 (오는 20일 출범하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편관세와 관련한 여러 시나리오를 준비 중”이라며 “대응 방안 준비를 다 해 놨다”고 말했다.

 

지난해 韓 '해외 플랜트' 수주액 341억 달러…9년 만에 최대

 

지난해 韓 '해외 플랜트' 수주액 341억 달러…9년 만에 최대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외 플랜트 수주액이 총 340억 달러를 넘어서며 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수주한 플랜트 사업이 금액 기준 총 340억7000만

v.daum.net

#해외플랜트공사 #산업단지소방대 #자체소방대 #소방장비 #보호복 #방호복 #방화복 #구조복 #개인보호장비 #탈출장비 #안전장비 #소방기자재 #육상플랜트공사 #특수사업 #FiremanOutfit #LooseFireFighting #VIKINGfire #VIKINGrescue